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우리집 고양이 눈에 이상한 증상이 있다면 의심해보자

by y-u-story 2025. 1. 21.

누워있는 고양이 사진

고양이 눈 질병: 결막염과 기타 눈 질환

고양이의 눈은 매우 예민한 부위로, 작은 문제도 빠르게 악화될 수 있습니다. 결막염을 포함한 다양한 눈 질환은 고양이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조기에 적절히 관리하지 않으면 시력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고양이의 결막염과 함께 다른 주요 눈 질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고양이 결막염

결막염이란?

고양이 결막염은 눈의 결막(눈꺼풀 안쪽과 눈 흰자위를 덮고 있는 얇은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상태를 말합니다. 결막염은 단독으로 발생하거나 다른 안구 질환과 동반될 수 있습니다.

결막염의 주요 원인

  1. 감염성 원인:
    • 바이러스: 고양이 허피스바이러스(FHV-1), 칼리시바이러스 등.
    • 세균: 클라미디아, 마이코플라스마 같은 병원체.
  2. 비감염성 원인:
    • 알레르기 (먼지, 꽃가루, 세제 등).
    • 물리적 자극 (이물질, 과도한 털, 긁힘 등).
    • 환경적 요인 (건조한 공기, 연기, 자극성 화학물질).

증상

  • 눈의 충혈
  • 눈꺼풀 부종
  • 눈물 흘림 (맑거나 점액질)
  • 눈곱 생성 (흰색, 녹색, 노란색 등)
  • 눈을 자주 깜빡이거나 감고 있음
  • 빛에 대한 민감성

치료 및 관리

  • 약물 치료: 항생제 또는 항바이러스 점안액, 스테로이드.
  • 눈 청소: 분비물을 부드러운 천으로 닦아내기.
  • 환경 관리: 먼지, 연기, 알레르기 유발 물질 제거.
  • 예방 접종: 바이러스성 감염을 예방.

2. 각막염

각막염이란?

각막염은 고양이 눈의 투명한 앞부분인 각막에 염증이 생기는 상태입니다. 결막염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으며, 각막 손상은 시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원인

  • 외상(긁힘, 이물질).
  • 감염성 요인(바이러스, 세균).
  • 자가면역 질환.
  • 건성안(눈물이 부족한 상태).

증상

  • 각막 혼탁 (눈이 뿌옇게 보임).
  • 눈의 통증 (눈을 자주 감음).
  • 과도한 눈물 분비.
  • 빛에 민감.

치료

  • 원인에 따른 항생제 또는 항바이러스 점안액.
  • 인공눈물 또는 윤활제 사용.
  •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

3. 고양이 녹내장

녹내장이란?

녹내장은 안압 상승으로 인해 눈 내부 구조가 손상되고 시력이 저하되는 질환입니다.

원인

  • 유전적 요인.
  • 외상.
  • 염증으로 인해 안구 내 체액 배출이 방해받는 경우.

증상

  • 눈이 비정상적으로 붉어짐.
  • 눈이 부풀어 오르는 것처럼 보임.
  • 시력 저하.
  • 빛에 민감.
  • 눈 주위를 자주 만지거나 비비는 행동.

치료

  • 약물로 안압 조절.
  • 심한 경우 수술을 통해 안압을 낮춤.

4. 고양이 백내장

백내장이란?

백내장은 눈의 수정체가 뿌옇게 변해 시력이 저하되는 상태입니다. 주로 노화와 관련이 있지만, 외상이나 염증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증상

  • 눈동자가 뿌옇게 보임.
  • 시력 저하.
  • 물체에 자주 부딪히는 행동.

치료

  • 초기에는 시력 보조 약물.
  • 심한 경우 수술적 교체(수정체 제거 및 인공 렌즈 삽입).

5. 눈꺼풀 질환(안검염, 안검내반, 안검외반)

안검염(눈꺼풀염)

눈꺼풀 가장자리의 염증으로 눈이 자극받아 불편함을 느끼는 상태입니다.

안검내반

눈꺼풀이 안쪽으로 말려 들어가 속눈썹이 각막을 자극하는 상태입니다.

안검외반

눈꺼풀이 바깥쪽으로 말려 눈이 건조하거나 노출되는 상태입니다.

치료

  • 약물(항염증제, 항생제).
  • 심한 경우 수술로 교정.

6. 고양이 건성안

건성안이란?

눈물샘 기능 저하로 인해 눈물이 충분히 생성되지 않아 안구가 건조해지고 자극을 받는 상태입니다.

증상

  • 눈의 건조.
  • 끈적한 눈곱.
  • 지속적인 충혈.

치료

  • 인공눈물 사용.
  • 눈물 생산을 촉진하는 약물.

고양이 눈 질환의 공통 증상

  • 눈을 자주 깜빡이거나 비비는 행동.
  • 충혈.
  • 눈물 흘림 또는 분비물 생성.
  • 빛에 민감.
  • 시력 저하로 인한 이상 행동(낮은 곳에서만 움직임 등).

눈 질환의 예방 방법

  1. 정기적인 검진:
    • 정기적으로 수의사를 방문하여 눈 상태를 점검받습니다.
  2. 청결 유지:
    • 눈 주위의 털을 다듬고 분비물을 제거하여 감염을 예방합니다.
  3. 바이러스 예방:
    • 허피스바이러스와 같은 감염을 막기 위해 예방 접종을 철저히 합니다.
  4. 안전한 환경 제공:
    • 날카로운 물건, 먼지, 자극적인 화학물질을 고양이 주변에서 제거합니다.

결론

고양이의 눈 질환은 초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눈은 시력뿐만 아니라 고양이의 전반적인 건강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작은 변화라도 무시하지 말고 즉시 수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결막염, 각막염, 녹내장, 백내장 등 다양한 눈 질환은 증상과 원인이 유사해 보이지만 각각의 치료법이 다르므로 정확한 진단이 필수입니다. 건강한 눈 관리를 통해 고양이가 오래도록 편안하고 활기찬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